[상장지수펀드-ETF] KINDEX 중국본토CSI300 VS KODEX CHINA A50

 

KODEX CHINA A50 챠트

 

KINDEX 중국본토CSI300 챠트

 

중국본토 지수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중에 거래량이 많은 한국투자신탁운용의 KINDEX 중국본토CSI300 ETF 삼성자산운용의 KODEX CHINA A50 ETF가 2개가 있습니다.

 

둘 다 비슷하지만 종목편입수가 차이가 있습니다. KINDEX 중국본토CSI300 ETF의 CSI300 지수는 중국 상해 및 심천 증시에 상장된 중국본토 주식 가운데 시총 규모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한 지수입니다.

 

KODEX CHINA A50 ETF의 A50은  FTSE사가 산출하는 지수로, 중국 상해 및 심천 거래소에 상장된 중국본토 주식 가운데 시가총액 기준 상위 5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챠트를 보면 상장되지 얼마되지 않은 KODEX CHINA A50 ETF가 변동성이 좀 더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써니전자 안철수 테마주 제외] 써니전자 송태종 대표 사임으로 테마소멸

 

 

써니전자는 송태종 전 대표가 과거 안랩에서 기획이사로 재직했던 이유로 안철수 테마주로 분류되어 왔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써니전자 송태종 대표이사 사임했다는 소식은 더 이상 안철수 테마주로써의 자격이 상실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동안 안철수 관련 뉴스로 올라온 부분에 모두 반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써니전자 주가는 2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하면서 4650원에 마감했습니다.



[김종훈 내정자 관련주] 키스톤글로벌 연일 상한가

 

키스톤글로벌은 정영태 회장이 김종훈 내정자와 매제지간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김종훈 관련 대장주로 2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김종훈 알카텔루슨트 벨연구소 사장이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으로 내정되면서 관련주들이 급등하고 있지만 투자에 주의가 요망됩니다. 테마주들의 특성상 단기 급등 후 테마소멸이 발생하면 제자리로 가는 패턴이므로 초보투자자들은 추격매수를 자제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발틱운임지수(Baltic Dry Index ; BDI), 컨테이너운임지수(HRCI, SCFI, CCFI) 사이트

 

 

상해 컨테이너 지수

 

 

실시간 해운지수 사이트

 

http://fantazzini.narod.ru/shipping.html#howe 해운지수 통합사이트 추천!

 

http://info.finance.naver.com/marketindex/etcDetail.nhn?marketindexCd=INDEX_BTIBDI 

- 네이버 발틱운임지수(BDI지수)

 

http://www.bloomberg.com/quote/BDIY:IND - 블룸버그 발틱운임지수(BDI지수)

 

발틱운임지수(BDI지수)

 

 

 

[2월 15일 특징주] 상한가, 하한가 종목

 

 

남광토건(1차감자→유상증자→2차감자)

금호산업, 자본잠식 우려

신한, 해외 수주 불발 소식

 



[웅진에너지 매각 기대감 급등] 웅진에너지 인수전에 LG, 삼성, 한화그룹 가담 전망

 

웅진그룹의
웅진에너지 인수전에 LG와 삼성, 한화그룹 등이 가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금일 웅진에너지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웅진에너지는 태양광용 단결정 잉곳과 웨이퍼 생산업체이며, 연간 잉곳 생산력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태양광 산업자체가 지금 그닥 좋지 않은 상황이고 너무 많은 업체들이 난입한 상황에서 오히려 철수하는 분위기라서  웅진에너지 인수전 관련 뉴스가 실제 이루어질지는 확인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코리안리 종목분석] 국내 유일 재보험사, 코리안리 주가 기술적 분석

 

코리안리는 국내 유일의 재보험사로 독점적인 지휘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재보험은 보험회사의 보상책임을 분담해주는 보험사들의 보험을 파는 보험주로 보시면 됩니다.

작년 태국 재해로 보험사들의 손해율이 증가하면서  코리안리 역시 손실이 발생하면서 주가가 급락한 측면이 있고 실적 역시 좋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일시적인 재해로 인한 손실 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실적개선이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현재 코리안리 PBR이 1배수준이라는 점은 매력적입니다. 단순 PBR로 목표주가를 산정한다고 하면 최소 1.5배로 보고 현재 주가에서 40-50% 최소 상승여력이 있습니다.

 

 

코리안리의 최근 일봉 주가챠트를 보면 2012년 11월 저점 이후 우상향 형태로 상승을 하고 있으며 최근 조정을 보입니다. 이평선도 일제히 상승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코리안리 주가 일봉을 길게 보면 낙폭과대 이후 이제 상승세 초입으로 보여집니다.

 

 

코리안리 주식을 장기적으로 본다면 지금 장기 박스권 조정을 보이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향후 코리안리 주가가 16000원을 돌파한다면 새로운 시세가 형성되리라 보며 독점적인 재보험회사로써 더디지만 성장은 계속 되리라 봅니다.

 



[전쟁테마주-방산주 급락] 스페코, 빅텍 하한가 마감

전쟁관련대표 종목인 스페코, 빅텍 하한가 마감했습니다.

 

 

북한 3차 핵실험 소식으로 전일 급등했던 전쟁테마주-방산주들 전일 상승분 모두 반납, 하루 만에 급락마감했습니다장초반 추가 핵실험과 오바마 연설 기대감으로 상승했지만 오바마가 북한 핵실험 관련 언급이 약하게 나타나면서 실망감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됩니다.

 



쌍용건설,한일건설 상장폐지 위기-중소형건설사 붕괴 지속

 

 

쌍용건설은 2년간 대규모 손실로 자본 에 빠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거래정지 상태이며 해소하지 못하면 상장폐지지 될 수도 있습니다. 자본잠식은 누적 적자폭이 너무 커져서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까지 잠식된 상태를 말합니다. 50% 이상의 자본잠식은 관리종목 지정사유가 되고 전액잠식은 주식시장 상장 폐지 요건에 해당합니다.

 

자본금 전액이 잠식된 한일건설(006440)의 매매거래정지된 바 있습니다.

 

다만, 쌍용건설은 75%의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지원 방안을 놓고 채권단과 갈등을 겪고 있는 실정이지만 쉽게 상장폐지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두산건설 역시 두산그룹의 민폐를 끼치면서 그룹 유동성 위기의 원인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두산,두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 등 모회사들의 주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붕괴되는 그룹들의 공통적인 자회사 건설업체가 원인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금호그룹-금호산업,대우건설 인수 후의 부실, 대한전선 역시 건설부문 악화와 무분별한 사업확장, 웅진그룹 역시 극동건설 인수 후 등 건설경기악화로 건설사들의 도미노 현상이 나타나면서 굴지의 그룹을 무너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한편 신성건설, C&우방, 서광건설, 성원건설, 풍림산업, 중앙건설 등 상장폐지 된 바 있습니다.



중장기 가치투자종목 - 포스코켐텍 종목 분석

 

포스코켐텍(003670) 포스코 계열사로 국내 1위 염기성 내화물 생산업체로 포스코를 주요 납품처로 안정적이 수익이 보장된 기업입니다.

 

포스코켐텍은 내화물 이외 로정비작업 등의 건설부문, 생석회 사업부문, 케미칼부문 등 다양한 수익사업 확보하고 있습니다.

 

포스코켐텍은 상장이후 지속적인 성장 2009년이후 매출이 2배이상 성장, 작년에 경기불황으로 이익성장이 다소 주춤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현재 주가는 PER 8배 내외 저평가 구간, 향후 재차 실적개선이 되면 다시 상승추세 복귀가 가능해보입니다.

 

 

포스코켐텍 주가 역시 작년 8월 최고점을 찍고 급락 후 기술적 반등이후 재차 완만한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포스코켐텍 월봉을 보면 10년간 주가가 엄청나게 올랐죠.하지만 여기서 멈출 것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흐름상 지금은 조정구간으로 보여집니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포스코켐텍에 투자를 한다고 하면 60개월선 부근 9만원~11만원 사이 분할매수 후 장기투자 유효해보입니다.

 

 



+ Recent posts